Critique/피플 · 2024. 9. 18.
[가신이의 발자취] ‘1호 만화평론가’ 손상익을 기리며1991년 만화평론 신춘문예로 등단자료나 근거 없는 비평 반대하며한국만화 자료 수집과 분석에 열의한국만화 역사서 ‘만화통사’ 내고만화인명사전과 서지정보집 출간사비로 한국만화문화연구원 만들어2년 과정 평론가 양성 프로그램도 1990년 ‘스포츠조선’이 창간됐다. ‘일간스포츠’ ‘스포츠서울’ 양대 체제였던 스포츠신문 시장에 3파전이 벌어졌다. 연예인을 전면에 내세운 특종 경쟁이 1차전이었다면 2차전은 연재만화를 통한 경쟁이었다. 당대 최고의 만화가들이 3사의 전쟁에 선봉장 역할을 했고 신문사별로 5~6명의 만화가가 매일 4~6페이지 분량의 장편 연재만화를 게재했다. 1칸 정치만평, 4칸 생활만화로 규격화된 기존 신문만화와는 전혀 다른 형식의 만화가 만들어졌..
Critique/칼럼 · 2023. 1. 14.
신세계, 신시장 지난 2021년 12월 엠스토리허브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통해 웹툰 ‘재혼황후’의 공간과 주인공 캐릭터를 3D로 구현해 팬미팅을 개최했다. 가상 세계에서 3D 아바타화 된 주인공 캐릭터와 팬들이 만난 것이다. 미팅에 참여한 팬들 역시 제페토 상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고 재혼황후의 의상과 소품을 구매해 착용했다. 배우 수애가 등장한 네이버웹툰 TV CF로도 유명한 ‘재혼황후’는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웹툰이다. 텍스트 기반에서 이미지를 얻은 가상의 이야기가 배우 수애와 방송을 통해 현실과 연결되고 다시 제페토 서비스를 통해 가상 공간으로 진입한다. 팬이라 명명된 이들은 ‘재혼황후’를 따라 가상과 현실이 혼재된 그곳에서 소비자가 되기도 하고 생산자로 변신하기도 한다. 기술이 세상을 변화..
Critique/칼럼 · 2021. 10. 2.
돌아온 그래픽노블의 세계 지난 3월 인터넷서점 예스24는 자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화’ 카테고리의 출판 및 판매 동향을 분석해 발표했다. 요점은 만화 카테고리 내 22개 분류 중 하나인 ‘그래픽노블’의 생산과 소비가 확대되면서 ‘만화 분야의 외연이 확장’*되고 있다는 취지였다. 예스24는 그래픽노블이 지난 10년 사이(2020년 기준, 2010년 대비) 출간 종수는 4배(37권→140권) 가량 늘었고 판매량은 7배 증가했다고 했다. 더불어 기존 만화 카테고리의 주 구매자가 20~40대 남성(42%)이었다면 그래픽노블은 20~40대 여성(53.2%)이라고 했다. 반가운 일이다. 그런데 조금은 아쉽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다. 출간량이 4배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140권을 많다고 할 수 없다. 7배 늘었다는 ..
Critique/리뷰 · 2021. 9. 12.
1. 아홉 개의 빨간 모자 는 당대 최고의 아동교양잡지 ‘어깨동무’에 별책부록 형식으로 연재된 야구 소재 만화이다. 1980년 7월호 부록으로 1권이 발행됐다. 권당 64페이지 분량으로 무선제본 형태를 취했다. 작품 전체 분량이 1천 페이지 규모여서 17개 월 가량 연재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재분을 단행본으로 묶어 처음 발행한 것은 1982년 은성문화사(물개만화) 판이고 마지막으로 재발행 된 것은 1994년 세주문화사(팀아트) 판이다. 제목을 로 바꿔서 낸 우석 판도 있다. 이 시기 아동교양잡지들은 본지를 구매하면 전면 만화로 된 별책부록을 제공했다. 본지가 교양성과 지식을 강조했다면 부록은 오락성과 감동에 집중했다. 본지에도 연재만화가 게재됐지만 별책부록으로 제공된 연재만화와는 규모가 달랐다. 본지 ..
Critique/리뷰 · 2020. 8. 13.
Cover Story 한국의 근현대사를 조망한 웹툰과 그 의미 풍자하고 꿈꾸는 21세기의 방식 카툰, 현실과 평가를 담는 형식 단순화·과장화·풍자화의 특징을 지닌 그림, 이를 바탕으로 글과 조합된 형태의 예술 형식을 통상 ‘만화’라고 부른다. 그런데 만화라는 예술에도 다양한 분야가 있다. 만화의 역사에서 윌리엄 호가스(1967~1764)가 회화의 한 형식으로 캐리커처(인물풍자화)를 주도했다면 오노레 도미에(1808~1879)는 카툰(단순화-두꺼운 종이에 그린 밑그림), 루돌프 퇴퍼(1799~1846)는 코믹스트립(연속화)의 전형을 이끌어냈다. 이를 토대로 현대만화의 주류 형식인 유럽의 ‘방드 데시네(Bande Dessinee)’, 미국의 ‘코믹북(comicbook)’, 일본의 ‘망가(漫畵·マンガ)’가 탄..
박석환 홈페이지
(04035)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 8길 48
전 화 : 02-322-4581
이메일 : tony@jaedam.com
재담쇼츠 : www.shortz.net
재담미디어 : www.jaedam.com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